주간아이돌과 아이돌룸 유사성 논란 유도? 할수록 주간아 손해

728x90

대중이 그간의 과정을 아는 한 유사성 논란은 유도할수록 ‘주간아이돌’의 손해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.

특히, 아이돌에 민감한 나잇대는 언론이 전하는 것보다 더 상세하게 논란의 과정과 사실을 알기에 언론이 함부로 나서 과정을 곡해하는 것은 삼가야 할 일이다.


그러나 여론을 움직일 수 있을 것이란 착각을 하는 언론은 <주간아이돌>을 위한 기사를 생산해 대중의 비판을 받고 있다.

한 매체는 MBC에브리원의 <주간아이돌>과 JTBC의 <아이돌룸>이 포맷이 유사하다며 논란이라 보도했다.

내용의 요지는 <주간아이돌>과 유사한 <아이돌룸>을 방송한다는 게 문제라는 것이다.

프로그램의 유사성뿐만 아니라 전임 진행자 모두를 데려가 <아이돌룸>에서 방송을 한다는 것이 상도의를 어긴 것이라는 투이다.


방송하는 날짜도 하루 차이이고, 매회 새로운 아이돌이 출연하는 포맷도 비슷하고, 소품이 없는 단색 스튜디오도 유사하며, 자막도 비슷하다 지적하고 있다.

또 <주간아이돌>에서 사용하던 ‘도니코니’라는 별칭도 <아이돌룸>에서 ‘돈희콘희’라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을 하고 있다.

하지만 상황을 알면 이런 지적을 하지 못한다.

<아이돌룸>을 제작하는 곳은 외주 제작사로, 이미 <주간아이돌>을 제작한 원 제작사이다. 문제는 해당 제작사가 쫓겨나듯 나왔다는 점.

MBC에브리원이 직접 제작을 하며 <주간아이돌> 외주 제작진은 모두 일자리를 잃었다. 그러한 과정에서 정형돈과 데프콘이 계속 진행자로 설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같이 그만두고, 이어 팀 전체가 <아이돌룸>으로 자리 이동을 한 것이기에 상황을 알면 비판하기 어렵다.


애초 프로그램이 MBC에브리원이 만들어 놓은 프로그램이었다면 비판을 할 수 있으나, 해당 프로그램은 정형돈과 데프콘. 그리고 당시 제작진이 제작하고 살려놓은 프로그램이다.

이름 없는 아이돌 위주의 출연에서 대형 아이돌까지 출연하게 된 계기도 ‘도니코니’라 불린 정형돈과 데프콘이 있어서 가능했다.

정형돈과 데프콘은 <무한도전>에서 음악적 교류나 짝꿍을 해가며 최고의 복식조가 됐고, <주간아이돌>에서도 그 호흡은 이어졌다.

빅뱅의 지드래곤이 프로그램에 출연하고 대형 가수들이 발길을 이은 것도 정형돈과 데프콘이 있어서 가능했다. 또한, 프로그램의 특색이 된 2배속 댄스 또한 모든 것이 그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이어서 그들 모두가 옮겼다면 그곳이 터전이어야 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.


대부분의 제작진과 진행자가 나갔다면 오히려 <주간아이돌>은 두 번째 시즌을 다른 포맷으로 꾸렸어야 하는 게 옳을 법한데, 그들은 도니코니와 외주 제작사가 만든 포맷대로 갔다. 전혀 다른 제작진과 전혀 다른 진행자들이 카피 프로그램을 한 것이기에 문제를 삼으려면 <주간아이돌>을 문제 삼아야 하는 게 맞다.

일반적으로 특정 방송사 주체로 프로그램을 만들었을 경우 그와 비슷한 프로그램을 다른 방송사에서 시도한다면 비난은 당연하다. 하지만 이 경우는 매우 특수한 상황이기에 <아이돌룸>을 비난하기 어렵다. 피해를 본 입장이기에 비난은 하지 못한다.

<주간아이돌> 외주 제작사 측이 두 번째 시즌을 맞지 못하고 나가게 된 일은 해당 PD가 밝힌 바 있고 대중도 아는 사실이다. 특히, 다수의 아이돌 팬덤은 이 상황을 매우 상세히 알고 있다.


그래서 어설피 언론이 나서 <주간아이돌>이 <아이돌룸> 때문에 피해를 본다고 말하지 못한다. 당장 해당 기사에 대중은 상황을 거꾸로 말한다며 언론을 질타하는 분위기다.

<주간아이돌>은 피해를 본 게 아니라고 대중은 말한다. 왜? 그만큼 그 과정을 상세히 기억하고 있으니 당당히 말하는 것이다. 언론이 어설피 여론을 곡해하기란 어려워지는 시기다. 곡해 유도 시간에 <주간아이돌>에게 포맷을 전환하라 권하는 것이 오히려 빠를 것이다.

<사진=MBC에브리원, JTBC>

* 여러분의 공감(하트) 클릭은 큰 힘이 됩니다 *

이 글을 공유하기

댓글

Designed by JB FACTORY